美의회, 中 바이오테크 경계령
상원위원회 "5년간 최소 150억달러 투자, 대처 안하면 3년뒤 역전"
2025.04.14 13:28 댓글쓰기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미국과 중국이 관세폭탄을 주고받으며 무역갈등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달은 가운데 미국 의회가 중국 바이오테크 경계령을 내렸다.

 

8(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 연방상원 신흥바이오테크국가안보위원회(NSCEB)는 이날 내놓은 보고서에서 "중국이 20년간 생명공학(바이오테크)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두면서 이 분야에서 빠르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향후 3년간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중국에 추월당해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NSCEB는 미국이 향후 5년간 최소 150억달러(22조원 상당)를 바이오테크에 투자해야 한다면서,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만한 이 분야 중국 기업들과의 협력도 금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중국의 바이오테크를 견제하려면 동맹 등 전통적 파트너들과도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NSCEB2022년 미 국방수권법에 따라 의회가 설치한 초당파 입법 위원회로, 생명공학 분야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검토하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중국의 빠르게 성장하는 생명공학·의약 부문을 강하게 경계해왔다.

 

중국은 약품 원료와 복제약품 등을 미국에 대규모로 수출하는 국가로, 최근에는 정부의 전폭적 지원에 힘입어 바이오테크 부문의 허브 국가로 급부상했다. 아스트라제네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존슨앤드존슨 등 메이저 제약사들도 중국이 개발하고 임상시험까지 마친 약품들을 수입하거나 판권을 사들이는 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 최근에는 서방의 주요 투자자들도 중국 바이오테크 유망 스타트업들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미 의회가 중국 바이오테크 경계령을 내린 것은 처음이 아니다.

 

미 하원은 지난해 9월 중국 바이오 기업들을 안보 위협으로 규정해 제재하는 생물 보안법(Biosecure Act)을 통과시켰으나, 법안은 상원에서 부결됐다.

 

yongla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