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계가 '지역필수공공의사제도'에 대한 국민 호감도를 들고 나왔다.
한의사를 2년 추가 교육해 국가시험을 거쳐 의사면허를 부여, 지역·필수·공공의료에 종사토록 하는 자신들의 아이디어가 국민 3명 중 2명으로부터 찬성을 얻었다는 것이다.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은 '의료정책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0일부터 27일까지 8일 간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지역필수공공의사제도 찬성은 64.8%, 반대는 27%로 집계됐다.
'한의사가 추가교육 이수 후 특정지역(의료취약지 등)에 한정해 의사 업무 일정부분을 대신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는 항목에도 68.8%가 찬성했다.
해당 조치가 '공중보건 및 건강증진 향상에 도움이 될 것 같냐'는 질문에는 67.2%가 긍정했다. '공공의료 서비스 발전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긍정한 응답자는 67.4%였다.
의료대란과 관련해서도 물었다. ▲'우리나라 적정 의사 수를 늘려야 한다' 63.6% ▲'공중보건의사 차출로 인한 의료취약지 주민들의 의료이용 어려움에 공감하는가' 76.1% 등으로 조사됐다.
한의협은 "의대정원 확대로 촉발된 의료대란 사태가 1년이 됐는데도 뾰족한 해법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양의사의 원활한 수급에 차질이 생기고 양방 전공의가 부족할 것이라는 우려가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국민이 일정 자격을 갖춘 한의사가 공공 필수의료분야에서 양의사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찬성한다"며 "국회와 정부는 법과 제도 개선 정비에 즉각 나서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