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산업으로 주목받는 '메타버스(metaverse)'를 국내 보건의료분야에 안정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현 산업 실정에 맞는 지원책을 파악하고 정책화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보건의료산업 내 메타버스 기술 활용과 과제 보고서(연구책임자 김지은 보건산업 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를 통해 메타버스 정의와 보건의료분야 성공적 안착을 위한 과제를 제시했다.
메타버스는 '너머'라는 뜻을 지닌 '메타(meta)'와 '우주(universe)'라는 용어에서 나온 '버스(verse)'가 결합된 말로 현실을 초월한 세상, 새로운 가상 세상을 의미한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상황을 경험하면서 보건의료분야 적용에 대한 관심과 시도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1월 정부는 디지털 치료제(DTx), 비대면 그룹 중독치료, 재활 운동지도 등 미래 의료 한 축으로 메타버스 산업을 제시하고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점유율 5위 도약(현재 12위)을 목표로 삼기도 했다.
보건의료 메타버스 산업 시장은 조사기관마다 차이는 있지만 연평균 30% 이상 큰 폭의 성장세를 예측하고 있다.
삼일회계법인에 따르면 메타버스 시장은 2019년 464억 달러(60조 원)에서 2030년 1조5000억 달러(195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보건의료분야는 2025년 기준 1111억 달러(144조 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현재 보건의료 메타버스 시장을 응용분야별로 보면 ▲의학/수술 교육용(26.7%) ▲원격의료(23.1%) ▲진단(19.8%) ▲디지털 치료제(17.4%) ▲개인맞춤형의료(10.0%) ▲기타(2.9%) 순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미 애플, MS,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IT기업과 필립스, 지멘스 등 글로벌 의료기기 회사들은 막대한 자금력과 기술력으로 메타버스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연구개발(R&D)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와 카카오, SK 텔레콤, LGU+ 등 빅테크 기업을 비롯해 메디컬아이피, 애니메디솔류션, 뉴베이스, 서지컬마인드, 테트라시그넘 등 메드테크 기업들이 관련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학계 역시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을 찾고 산업과 연계해 임상 현장 문제를 풀어나가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지난해 1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주축으로 출범한 의료메타버스연구회와 해당 연구회에서 만든 의료메타버스학회가 대표적이다.
또 2021년 9월에는 분당서울대병원을 주축으로 6개 국내외 병원(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영국맨체스터대학교, 싱가포르국립대병원, 미국 로스엔젤레스아동병원)이 참여한 헬스케어 XR 글로벌 연구회가 발족해 운영 중이다.
연구팀은 "최근 국내 의료기관에서 메타버스를 진료와 교육, 병원 운영과 홍보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며 보건의료분야 메타버스 성공적 도입을 위한 해결 과제를 제언했다.
우선 연구팀은 "국가 보건의료시스템 틀 안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 사이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핵심 이해관계자 지지를 얻고 조직과 인력, 주변 여건을 준비하는 한편, 혁신 과정 자체가 성공할 때까지 지속되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계는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해결코자 하는 문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혁신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자금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사업모델이 분명해야 하는 점도 언급했다.
이어 "혁신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협력해야 할 혁신 주체와 협력관계를 맺고, 그 협력관계를 혁신이 성공할 때까지 유지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보건의료 메타버스 산업 실정에 맞는 지원책을 파악하고 정책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연구팀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제품화까지 밸류체인 상에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실증사업과 시범사업 등으로 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기술적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허용해야 할 부분과 규제해야 할 부분을 구분지어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