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재생의료 증가…올 1분기, 전년比 2배 '12건'
임상연구계획 누적 125건 중 '42건' 적합…"치료 기회 확대 기대"
2024.04.30 11:35 댓글쓰기



첨단재생의료 누적 임상연구계획 심의 신청 건수가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사람 신체 구조 또는 기능을 재생, 회복 또는 형성해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를 가능케 한다.


정부도 연구과제 22건에 167억원의 임상연구비를 지원하는 등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지원받은 과제들은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는 모습이다.


보건복지부(조규홍 장관)는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계획 심의 신청 건수가 올해 1분기 12건이 신청돼 작년 같은 기간 6건 대비 2배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누적 신청 건수는 올해 3월 말 기준 총 125건이다. 연도별로는 2021년도 38건, 2022년 24건, 2023년도 51건 등이다.


첨단재생의료는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운 중대·희귀·난치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분야다.


미국, 유럽, 일본, 대만 등에서는 재생의료 관련 법을 제정·정비하고 재생의료 분야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서도 국민 건강 증진과 첨단재생의료기술의 국가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2019년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 2020년 8월부터 시행중이다.


첨단재생바이오법의 핵심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다. 의료기관이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을 받은 후 심의위원회 및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연구계획 적합·승인 통보를 받아야 실시할 수 있다.


2021년부터 첨단재생의료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가 재생의료기관의 임상연구계획에 대해 연구 필요성, 과학적·윤리적 타당성 등을 검토해 임상연구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2024년 3월말 기준 심의 신청된 임상연구(총 125건)를 질환별로 분류하면 근골격계 질환(30%, 37건)과 암 질환(25%, 31건) 연구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해당 질환들이 국외 재생의료 시장에서 시장 규모 1, 2위를 차지하는 것과 유사한 경향이다. 


심의위원회는 신청된 연구계획(125건) 중 총 96건(누적)에 대한 심의를 완료했다. 이 중 약 44%(42건/96건)가 ‘임상연구 적합’으로 심의됐다. 


정부는 임상연구 활성화를 위해 연구비 지원 등 임상연구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심의위원회·식약처에서 임상연구계획 적합·승인을 받은 후 임상연구지원사업단(재생의료진흥재단)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연구비 적정성 평가를 거쳐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2022년부터 현재까지 임상연구지원사업단은 22건의 연구과제에 대해 총 167억원의 임상연구비를 지원 중이며, 지원받은 과제들은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실제 서울대병원 강형진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병원 내 'CAR-T(암세포 항원 표적 면역세포치료제) 치료제 공공 플랫폼 개발'로 세포치료제 생산기간을 평균 12일로 단축했다.


분당차병원 이주호 교수팀은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중간 평가에서 객관적 반응률 100%를 달성 및 3명의 간암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확인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배자성 교수팀은 살아있는 타인의 성체 줄기세포를 3D 프린팅해서 만든 인공기도를 난치성 기관 결손 환자 1명에게 세계 최초로 이식했다. 수술 6개월 후 성공적인 생착을 확인하는 등 임상연구를 통해 희귀·난치 질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올해 2월 첨단재생바이오법이 개정돼 임상연구 등을 통해 안전성 및 유효성 관련 근거가 축적된 첨단재생의료 기술의 경우 내년 2월부터 심의위원회에 첨단재생의료 치료계획 심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환자에게 첨단재생의료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재생의료진흥재단 임상연구지원사업단 박소라 단장은 “첨단재생의료는 질병의 근본적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며, 중대 질환에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는 중요한 분야”라고 소개했다.


그는 “국내 첨단재생의료 성장과 함께 국제사회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이 필요하다”면서 “국내외 연구동향에 발맞춰 임상연구를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고형우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사무국장은 “내년 2월부터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가 새롭게 도입되고, 임상연구 대상자 범위가 중대·희귀·난치 질환에서 모든 질환으로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첨단재생의료 안전성과 임상적 유효성 확보를 위해 심의위원회에서 심도 있는 심의와 함께 철저한 안전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사무국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