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량 감소→알츠하이머 발병 위험 증가 첫 규명
임현국 여의도성모병원 교수팀 "적정한 근육, 뇌 위축·인지기능 저하 방지"
2024.06.25 14:57 댓글쓰기



좌측부터 임현국 교수, 김성환 임상강사
국내 연구진이 다중 뇌영상을 이용해 근육 감소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 핵심은 근육량 감소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유발하고 근력 약화는 뇌혈관 이상으로 뇌 위축과 인지기능 저하 유발할 수 있다는 대목이다.


임현국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 뇌건강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김성환 임상강사)은 가톨릭 노화 뇌영상 데이터 베이스(Catholic Aging Brain Imaging Database, CABI)를 토대로 근육량과 인지기능 연관성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치매가 없는 528명 환자를 대상으로 근육량과 근육강도, 신체기능 등을 통한 근감소증 점수와 뇌 MRI로 측정한 대뇌피질 두께, 해마 부피, 백색질변성 정도, 뇌 아밀로이드-PET에서 측정된 대뇌 아밀로이드 침착도, 그리고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인 낙상 골절, 걸음걸이 이상 등 일상 기능 저하와 특히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등으로 인한 인지 기능 장애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감소증이 구체적으로 뇌의 어떤 변화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하는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명확하지 않았다. 


즉, 근감소증으로 인한 뇌의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혈관성 변화, 뇌 두께 감소 등 복잡한 대뇌 변화와 이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 유발 기전은 현재까지 규명되지 않았다. 


생체임피던스 기기로 측정한 근육량, 악력계로 측정한 근력,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로 측정한 근 기능 모두 인지기능 장애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뇌의 위축 정도, 뇌의 백색질 변성 정도, 뇌 아밀로이드 축적 정도와는 각기 다른 관계를 보였다.


근육량이 적을수록 알츠하이머병 유발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이 많이 나타났다. 근력이 약할수록 측두엽 대뇌피질 두께가 얇아지고 근기능이 떨어질수록 양측 섬엽 두께가 위축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부분최소적합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해 나이 및 성별, 교육년수, APOE 유전자형, 우울증 점수 등을 통제했을 때도 나타났다. 


특히 높은 근육량은 알츠하이머병 원인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을 억제하고, 높은 근력은 백색질 변성을 막아 뇌 위축 및 인지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좋은 근육 기능은 근육양 및 강도와 달리 직접적으로 뇌 위축 보호 및 인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규명된 것이다. 


임현국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근감소증 진단 요소들이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및 뇌 백색질 변성, 뇌 위축 등 각기 다른 방식으로 뇌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기능 저하를 설명하는 통합적 모델을 제시 및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이어 “근감소증 관련 신체 상태에 대한 의학적 접근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알츠하이머병학회 공식 학술지인 ‘알츠하이머즈 앤 디멘시아’(Alzheimer’s & Dementia, IF 14.0) 2024년 6월호에 게재됐으며 한국콘텐츠진흥원 및 가톨릭대학교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