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딥러닝을 활용한 CT 영상 분석을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 진단과 중증도를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수면다원검사보다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의 새로운 표준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공현중 교수팀은 1018명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진단 및 중증도 예측 방법을 개발하고 그 성능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상기도가 반복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혀 호흡이 어려워지는 질환으로, 전 세계 인구의 6~38%가 앓고 있다.
심혈관 질환, 당뇨병, 우울증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수면 질(質)을 심각하게 저하시키지만 기존의 수면다원검사는 고비용과 접근성이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비동을 포함한 두개안면 CT 이미지를 활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 ‘AirwayNet-MM-H’를 개발했다.
이 모델은 3D CT 이미지와 환자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BMI) 등을 결합해 예측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기도 부위를 강조하는 전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해 성능을 더욱 개선했다.
AirwayNet-MM-H 모델은 3차원 컨볼루션 신경망(3D CNN)과 환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다층 퍼셉트론(MLP)를 결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예측한다.
이 모델은 4등급(정상,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하거나, 중등도 이상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예측하는 2등급(중등도 이상, 경증/정상) 분류 방식으로 활용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내부 데이터 798명과 외부 데이터 세트 135명 및 85명을 기반으로 모델을 학습하고 성능을 검증했다.
그 결과, AirwayNet-MM-H 모델은 4등급 분류에서 내부 데이터로 87.6% 예측 정확도를 기록했으며, 외부 데이터 세트에서도 각각 84.0%와 86.3%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중등도 이상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예측하는 2등급 분류에서는 내부 데이터에서 91.0%의 예측 정확도를 기록했으며, 외부 데이터 세트에서도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추가로 AirwayNet-MM-H 모델의 진단 성능을 기존 딥러닝 모델과 비교한 결과, 내부 데이터 세트에서는 기존 모델보다 정확도가 최대 14.2% 높았고, AUROC 값이 0.152 더 우수했다.
외부 데이터 세트에서도 정확도가 11.9% 더 높았으며, AUROC 값이 0.111 더 높아, 다른 6개 최신 딥러닝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공현중 교수는 “딥러닝 모델은 기존 검사에 접근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신속, 정확하게 진단을 제공하고,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환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더 많은 외부 데이터를 통해 성능을 검증하고 개선하고, 다양한 인종과 환자군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흉부학회 학술지(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IF 19.3)’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