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소 미숙아 '초기 항생제 사용' 전략 제시
삼성, 장윤실·안소윤 교수팀, 산모·아기 감염경로 및 요인 보고
2024.10.17 10:33 댓글쓰기

산모에게서 신생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와 신생아 감염의 고위험군에 대한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선택에 대한 도움을 주는 연구로 필요 시에만 항생제를 쓰도록 하는 선택지를 제공할 전망이다.  


그간 패혈증과 같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범위한 항생제 투여가 일반적이었지만, 앞으로는 아기에게 이로운 경우에만 항생제를 쓰도록 가려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00g 미만으로 태어난 극소 미숙아는 대개 면역체계가 불완전한 탓에 세균 감염에 취약한 편이다. 이 때문에 조산 및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엄마에게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갓 태어난 아기에게 항생제를 쓰기도 한다.


문제는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산모에게는 항생제 내성을, 아기에게는 여기에 더해 괴사성 장염, 신경발달 장애 등 역효과를 걱정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연구팀은 2013 ~ 2020년 사이 병원균이 확인된 산모에서 출생한 극소 미숙아 173명을 감염 그룹(45명)과 미감염 그룹(128명)으로 나누어 감염 주요 경로와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을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IF=4.6)’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산모 혈액과 소변, 질에서 채취한 병원균을 확인한 결과, 대장균이 30.6%로 가장 흔했다. 이어 칸디다균(29.5%), B군 연쇄상구균(16.8%), 클렙시에라균(12.1%), 엔테로코커스균(1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기들도 동일하게 대장균(35.6%)에 가장 많이 전염됐으며 다음은 칸디다균(20.0%), B군 연쇄상구균(15.6%), 엔테로코커스균(15.6%), 클렙시에라균(8.9%)이었다.


질은 가장 흔한 감염 경로였다. 대장균에 감염된 극소 미숙아의 30.2%는 출산시 산모 질을 통해 감염됐다. 산모 혈액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을 때는 아기에게 100%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또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도 분석했다. 그 결과, 산모는 백혈구 수치가 높거나 융모양막염,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이 있을 때 아기에게 감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구의 경우 혈액 내 수치가 15,000/µL를 초과한 경우에는 아기 전파 위험이 2.62배 상승했다.


태반 융모막과 양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융모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10.54배나 올랐다. 조산을 막으려 출산 전 자궁경부를 실로 묶는 결찰술을 했을 때에도 4.44배까지 감염 전파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균이 전달된 그룹은 미전달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3배, 뇌실내출혈 발생률은 6배 높았다. 


이를 토대로 산모의 출산 전(前) 과거력상 및 양막이 조기 파열되거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과 백혈구 수치 등을 종합해서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장윤실, 안소윤 교수는 “산모에서 극소 미숙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항생제 남용을 막고 꼭 필요할 경우에 항생제를 써서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데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