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불법 리베이트 단속이 강화되면서 병원계에서 영업사원 출입을 금지하는 기류가 계속되는 모양새다.
데일리메디 취재 결과, 노원을지대학교병원은 최근 제약회사 직원 출입을 전면 금지하는 내부 공지를 발표했다.
이 일환으로 병원 측은 모든 출입문에 '제약회사 직원 출입금지'라는 안내문을 부착하고 부득이한 출입 시 회사 명찰을 반드시 패용해야 하고 외래 구역 출입은 절대 불가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노원을지대병원 관계자는 "외래 진료 시간 동안 환자들 불편을 최소화하고, 겨울철 감염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으나 업계에서는 이러한 조치가 불법 리베이트 단속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고려제약이 대규모 리베이트 혐의로 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경찰은 2023년부터 혐의를 포착하고 수사에 착수했으며, 지난해 4월 고려제약 본사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현재까지 약 1000여 명이 조사 대상에 올랐으며, 지난해 연말까지 280여 명이 검찰에 송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부는 당시 3월 21일부터 5월 20일까지 두 달간 불법 리베이트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하며 비윤리적 관행을 척결하기 위한 의지를 드러내 왔다.
그러나 집중 신고기간이 종료됐으나 여전히 다수 병원에서 제약 및 의료기기 영업사원 출입을 금지하는 분위기는 계속되는 모습이다.
특히 의정 갈등으로 의료기기, 제약사 직원들의 출입제한 조치가 암묵적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이러한 기류가 확산하자 업계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의정 갈등으로 영업 활동에 제약이 따르고 있는데 불법 리베이트 방지를 위한 병원들 조치가 강화되면서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출입제한 조치가 확산하는 것도 문제지만 이런 조치가 업계 전체 신뢰성을 저해할까 우려스럽다.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