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연구전공의' 과정을 신설하거나 의대 정원 외 입학을 한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즉 의사과학자 진입 트랙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달 14일 더불어민주당 이언주·강선우·김윤·황정아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는 '노밸생리의학상, 한국에서도 가능할까? 의사과학자 양성과 바이오강국 길' 토론회를 개최했다.
"의대 졸업생 중 기초의학 선택 1%, 이마저도 나중에 임상 분야로 이탈"
우리나라에서 매년 의대 졸업생 중 기초의학을 선택하는 비율은 1%에 그치는데 이들이 연구를 선택해도 결국 임상으로 이탈하고야 마는 현실을 고려, 대안을 논하는 자리였다.
이날 전문가들은 의사과학자를 육성하고, 이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몸담을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김종일 서울대의사과학자양성사업단 단장(서울의대 의과학과 학과장)은 의사과학자 트랙에 진입하는 새로운 과정으로 연구전공의 과정을 제시했다. 이는 전공의를 하면서 연구에 투입될 수 있는 전공의다.
김 단장은 "우리나라는 군(軍) 문제 때문에 의대를 빨리 졸업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기존 전공의 TO와 별도로 추가 TO를 마련한다면 모든 병원에서 이를 반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임상 수련과 연구 시간을 합쳐 수련기간을 정하고, 그 기간 동안 학위를 병행하고 나아가 병역까지 마칠 수 있다면 지원율이 매우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초의사 전문의·인정의제 도입 필요"
김인겸 대한기초의학협의회 회장(경북의대 약리학교실)은 한시적으로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의대 정원 외 입학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20년 간 학·석·(박)사 통합과정을 운영, 이들에게 전액 장학 지원 및 군 대체 복무 등을 허용한다는 아이디어다. 이들은 졸업 후 일정기간 교육·연구기관에 의무적으로 근무한다.
김 회장은 "임상 의사과학자 양성 과정보다 이 제도가 더 경제적이고 진입장벽이 낮다"며 "당사자들도 동료 전문의에 비해 낮은 보수를 받으며 사명감으로 버티지 않고, 등록금 면제 특혜 및 연구 수당을 받으며 자존감도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승원 가천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의사과학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 중 하나로 다양하지 않은 진로를 꼽았다.
류 교수는 "기초의학 전공 의사라고 해서 기초교실 교원 지위가 항상 보장되지 않는다"며 "임상의로서 뒤늦게 수련받는 것도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했다.
이에 그는 "예방의학, 임상약리학 등 기초 분야에 대한 기초의사 전문의·인정의제 도입이 필요하다"며 "기피 경향이 큰 임상과와 같은 선상의 국가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전문연구요원·연구 전담 프로그램으로 병역 대체 ▲의사과학자협회 신설 ▲의사과학자 지원 특별법 제정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