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경 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 일부 서울의대 교수들이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향해 "투쟁에 계속 동조할지, 아니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지 이제는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의료시스템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 보내"
강희경 전 위원장과 함께 서울의대 비대위 활동을 함께 한 서울대병원 하은진, 한세원 교수, 서울의대 오주환 교수는 17일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사태 초기에는 용기 낸 제자와 후배들이 대단해 보였고, 후방에서라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도 "하지만 사태가 지속되면서 여러분들에게 실망하고, 절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의사 커뮤니티와 의료 관련 기사 댓글,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의 SNS 게시글 등을 지적하며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 조금은 겸손하면 좋으련만, 의사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도 오만하기 그지 없다"고 일갈했다.
이들은 또 젊은 의사들을 향해 "의료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을 보냈다"며 "오직 탕핑과 대안 없는 반대만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진짜 피해자는 치료받지 못한 환자들"
교수들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주장과 일침에 대해 조목조목 일침을 놨다.
이들은 "여러분은 피해자라고 말하지만, 사직과 휴학은 여러분 스스로 선택한 일"이라며 "진짜 피해자는 지난 1년 동안 외면당하고 치료받지 못한 환자들 아닌가"라고 말했다.
또 전공의들이 수련 과정에서 '착취당했다'고 비판하는 데 대해 "수련 환경이 가혹하고 내용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면서 "그러나 그 시간은 전문의 자격을 얻기 위한 과정"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그러나 지난 국회 토론회에서 여러분이 요구한 것은 오직 노동 시간과 월급 이야기뿐"이라며 "전문가로서 수련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단 한 마디도 없었다. 그 모든 과정이 '착취'로 매도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한국 사회에서 (의사는) 가장 확실한 경제적 보장을 받는 직군 중 하나"라며 "전공의 수련 과정을 '착취'라고 주장하는 것은 사회적 공감을 얻을 수 없는 주장"이라고 했다.
"현재의 투쟁 방식은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 설득도 못해"
교수들은 전문가로서의 책임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 1년 동안 초과 사망자가 3000명에 달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면서 "당신들이 전문가라면 전문가로서의 양심이 계속해서 다치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블랙리스트' 등을 통해 동료 의사들을 비난하는 행태를 지적하며 "동료애는 어디에 있나"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정부가 잘못한 것이 맞다"면서도 "그렇다고 의료계도 똑같이 굴어야 하나. 지금 의료시스템은 붕괴 중이다. 우리는 사회로부터 신뢰를 잃고 있다. 믿을 만한 전문가가 아닌 이기심에 의료시스템 붕괴의 원흉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개탄했다.
끝으로 "여러분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정부를 반대하는 것인가, 아니면 대한민국 의료를 개선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 이제는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