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교수 4명이 복귀를 거부하는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강도 높게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자 박단 대한전공의협회 비대위원장(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이 이들의 교수 자격을 비난하고 나섰다.
17일 박단 대한전공의협회 비대위원장은 자신의 SNS에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몇몇 분들게”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이는 하은진, 오주환, 한세원,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의 성명서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 이제는 결정할 때입니다’를 겨냥한 글이다.
앞서 교수들은 “의사 커뮤니티와 의료 관련 기사 댓글에는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 내가 알던 제자, 후배들이 맞는지 두려움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이어 “의사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이 오만하기 그지 없다. 글을 읽다 보면 내가 아플 때, 내 가족이 이들에게 치료받게 될까 봐 두렵다는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다.
의대생과 전공의들에게 교수들은 “이 같은 투쟁 방식에 계속 동조할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이제는 선택해야 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자 박 위원장은 이들 교수들 성명 내용을 직접 언급하며 반박했다.
"가르치지 않는 등 교수 본분 다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성 없이 당당히 말하니 당혹스럽다"
그는 “응급처치 등의 술기를 간호사와 응급구조사에게 배우지 않았다.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아 책과 영상을 보며 혼자 공부했고 동료 전공의에게 물어가며 눈치껏 익혔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걸 가르쳐야 할 주체는 당신들이다. 교수 본분을 다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성 없이 당당하게 얘기하니 당혹스럽다”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교수 역할은 첫 번째는 교육, 두 번째는 연구, 마지막이 진료다. 교육을 하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월급을 받는 봉직의일 뿐”이라며 “교육자로서 본분을 다하지 않은 교수 네분의 자백이 있다”고 저격했다.
그는 “이런 사태가 벌어져야만 위선을 실토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전공의 교육 실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교수 평가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들 교수들이 전공의 시절을 언급한 부분에 대해선 “대학병원의 가장 큰 문제는 노동과 그에 따른 책임이 위계적으로 전가된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과로사로 사람이 죽어 나가도, 임산부가 과로로 아이를 유산해도, 국민 건강을 위해 그 정도는 어쩔 수 없는 희생이라고 하실 건가”고 반박했다.
박 위원장은 “병원장은 교수에게, 교수는 전공의에게 노동을 전가하고 있다. 전공의가 없는 지금, 교수는 이제 간호사에게 의사 책무를 떠넘기고 있다. 교수들 편의만을 위해 환자 위험을 높이고 있는데 교수는 이를 바로 잡기는커녕 전공의 부재를 핑계로 신규 간호사를 착취하고 있다”고 저격했다.
그는 “환자를 볼모로 착취를 정당화하지 않길 바란다. 논리도 없고 모순투성이인 이 글을 비판 없이 보도하는 것은 사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