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병원 이비인후과 정재윤·이민영 교수팀이 전정신경에 약물을 잘 전달시킬 수 있는 레이저에 반응하는 나노입자가 전정신경 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는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이중 바이러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전정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전정신경염은 흔한 어지럼증 질환이다.
전정신경염 환자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일부는 후유증으로 지속적인 재활이 필요하거나 회복되지 않은 상태로 지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전정기관으로의 약물 전달이 어려워 다양한 연구들이 난항을 겪어왔다. 특히 내이는 해부학적으로 경구약 복용 주사제 투입 모두 약물이 잘 전달되기 어려운 구조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전정신경에 약물을 잘 전달시킬 수 있는 레이저(near-infrared, NIR)와 이에 반응하는 나노입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를 사용했다.
그 결과 레이저와 나노입자를 동시에 치료한 경우에 전정신경 모사체에 재생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난치성 전정신경염 치료 가능성을 여는 연구로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민영 교수는 “바로 임상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추후 어지럼 환자의 신경재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좋은 약물 전달방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전정신경염 환자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나노기술과 생명과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학술지 ‘저널 오브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Journal of Nanobiotechn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