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병원, 경희대병원, 고려대안산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11곳 의료기관이 연구중심병원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정부는 기존 지정, 운영중인 10곳 연구중심병원과 함께 오는 2028년까지 3월까지 ‘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의 성공적 안착에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연구중심병원 인증 평가를 실시한 결과, 21개 의료기관을 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에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제도 도입 이후 첫 인증으로 1기 인증 기간은 2025년 4월 1일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3년간이다.
연구중심병원 제도는 바이오헬스 분야의 연구개발(R&D)과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13년에 처음 도입, 그동안 10개 병원이 지정, 운영돼 왔다.
경북대병원, 고대구로병원, 고대안암병원, 길병원, 분당차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아주대병원 등이다.
이후 바이오헬스 기술 수요 증대와 산업 발전에 따라 병원의 연구 문화를 확산하고자, 2024년 법 개정을 통해 ‘지정제’에서 연구 역량이 입증된 병원에 적용하는 ‘인증제’로 개편하게 됐다,
이번 인증 평가는 기존 지정 연구중심병원 10곳을 포함, 총 30개 의료기관이 참여했으며, 연구역량 질 평가를 거쳐 최종 21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다.
기존 지정 병원 10곳은 모두 인증을 통과했으며, 11개 의료기관이 새롭게 연구중심병원으로 합류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경희대병원, 계명대동산병원, 고려대안산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양산부산대병원, 이대목동병원, 인하대병원, 전남대병원, 한림대춘천성심병원 등이다.
복지부는 1단계 기본역량 평가와 2단계 연구역량 질 평가로 나눠 약 3개월간 평가 기준 부합 여부를 면밀히 검토했다.
특히 ▲글로벌 수준의 연구 시스템 및 인력 ▲지속 가능한 연구지원 거버넌스 ▲중개 및 임상연구 수행 역량 ▲특화된 중점 연구분야 경쟁력을 갖췄는지 등을 중점 검토했다.
인증 평가 결과는 지난 19일 보건의료기술 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1기 인증 의료기관은 연구중심병원으로서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된다.
‘보건의료기술진흥법’에서 정한 연구중심병원 운영 취지에 맞게 앞으로 바이오헬스 연구 생태계의 중심으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복지부는 인증된 연구중심병원의 성과를 주기적으로 관리해 제도를 조기에 정착하고 더 많은 의료기관이 연구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인증 평가 결과를 분석해 제도 운영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구중심병원 R&D 예산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연구중심병원이 늘어날수록 우수한 바이오헬스 성과가 병원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도출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