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시술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유형별로는 체외수정 시술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 2022년 난임 시술을 받은 사람은 총 7만543명이며 평균 연령은 37.9세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을 발간하고 난임 시술 과정 및 임신율 등에 대한 통계를 26일 공개했다.
심평원은 매년 난임 시술 정보를 수집해 현황 통계를 관리하고 있으며, 임신을 계획하는 국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난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난임 전문가 및 관련 학회와 협력해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를 발표했다.
2022년 난임 시술, 201개 의료기관서 20만7건 실시
‘통계로 보는 난임 시술’에 따르면 2022년 난임 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개소며, 건수는 20만7건이다.
난임 시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대비 5만3653건(36.7%) 늘어났다.
난임 시술 유형별로는 체외수정 시술 16만6870건(83.4%), 인공수정 시술 3만3137건(16.6%)으로 인공수정 시술은 감소한 반면 체외수정 시술은 증가했다.
2022년 난임 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543명이며, 이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9세다.
난임시술 유형별로는 체외수정 시술자 평균 연령이 인공수정 시술자 평균 연령보다 높았다.
난임시술 대상자의 연령을 시술별로 비교했을 때, 체외수정 시술은 35세~39세 비율이 34.2%로 가장 높고 인공수정 시술은 30~34세 비율이 43.0%로 제일 높았다.
체외수정 시술은 1~2차가 전체 시술의 57.7%를, 인공수정 시술은 1~2차가 전체 시술의 81.4%를 차지했다.
체외수정 시술 임신율은 평균 36.9%로 25세~29세에서 가장 높았으며(48.4%), 이후 연령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인공수정 시술 임신율은 평균 13.0%이고, 25세 미만에서 제일 높았고(17.3%), 연령이 올라갈 수록 떨어졌다.
초혼 연령 증가로 인해 향후 난임 시술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임신을 계획하는 부부라면, 적어도 35세 이전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 시술을 받는 것이 권고된다.
서희숙 심평원 의료자원실장은 “올해 난임 통계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국민에게 난임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난임 지원 정책 수립·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