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오늘(2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촉구하며 하루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올바른 의료개혁"을 외쳐 온 병원 노동자도 다수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합원 각자 연가 등을 활용해 참여하는 방식이어서 큰 의료공백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오늘(27일) 서울 시청광장·세종대로 일대를 비롯해 전국 주요 광장에서 집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총파업은 지난 26일까지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이 되지 않아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가 시행키로 의결한 총파업이다.
민주노총 지침에 따라 조합원 간부와 조합원들은 각각 연가·조퇴·총회· 교육·파업 등을 활용해 현장을 비우고, 오후 3시부터는 총파업대회에 참가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민주노총은 참여 인원을 전국 10만명으로 추산했지만, 병원 노동자를 비롯한 실질 파업 참여 규모는 총파업대회 시작 이후 취합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노조 측은 "현장에서 참여자를 조직 중인 상황"이라고 했고, 의료연대본부 현장 발언이 진행되는 병원 관계자는 "노조에서 전달받은 참여 규모가 없어 대응책도 미정이다"고 전했다.
"윤석열 의료개혁은 공공의료 짓밟기, 지역의료와 응급의료 붕괴"
국립대병원 중심 의료연대본부는 정오 전후로 현장 선언을 한 뒤, 총파업대회에 참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울지역본부는 서울대병원 본관에서, 대구지역본부는 경북대병원 로비에서, 충북지역본부는 충북대병원 본관에서 현장 선언을 진행한다.
본부는 "윤석열의 짧은 임기 동안 시민 건강은 유래 없이 파괴됐다"며 "윤석열의 의료개혁 실체는 의료민영화였다"고 비판했다.
본부는 윤석열 정부 의료개혁을 ▲건강보험 보장성 축소 ▲환자 의료비 인상 ▲개인 의료·건강정보 넘기기 ▲보험사 중심 미국식 의료민영화 추진 ▲바이오헬스 기업을 위한 위험한 규제 완화 ▲예산삭감으로 공공의료 짓밟기 등으로 요약했다.
이어 "지역의료와 응급의료 체계를 붕괴시킬 정책을 추진했다. 윤석열 파면 없이 공공의료, 공공돌봄은 강화될 수 없다"며 "헌법재판소는 윤석열을 파면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사립대병원·지방의료원 중심 보건의료노조의 최희선 위원장도 위원장 호소문을 통해 조합원 참여를 독려했다.
최 위원장은 "헌법재판소가 즉시 똑바로 선고할 수 있도록 광장으로 모여달라"며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사회대개혁을 이루자. 윤석열을 파면시키자"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총파업 이후에도 탄핵 선고일이 지정되지 않을 시 매주 목요일 총파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보건의료노조 측은 "민주노총 지침에 따르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