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대학의 고강도 제적 압박으로 의대생들이 복귀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에서는 대다수 학생이 복학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생 단체는 여전히 단일대오를 강조하며 투쟁 의지를 이어가고 있지만, 가톨릭대를 비롯해 복귀 시한이 임박한 다른 대학들에도 복귀 기류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지난 26일 밤부터 27일 오전까지 등록 및 휴학 여부 관련 투표를 진행한 결과, 약 66%가 1학기 등록에 찬성하면서 우선 등록한 후 투쟁 방식을 다시 논의키로 결정했다.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는 학생들에게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 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27일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 및 수강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 의대 학생들이 일제히 1학기 등록에 나선 결과, 올해 신입생과 군 휴학자를 제외한 재학생의 90% 이상인 700여 명이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지난 26일 내부 논의를 거쳐 공식적으로 올해 1학기 방향성을 기존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전환키로 했다.
연세대는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28일 미등록생에게 제적을 통보할 방침이지만, 학생들이 입장을 선회한 만큼 추가 등록의 가능성도 남아 있다.
연세대 의대 A 교수는 "총장이나 학장들도 학생을 잘라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아니"라며 "제적 처리되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교수들도 제적만큼은 막으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 역시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28일 제적 통보를 시행하기로 했으나, 등록 기간 연장이나 추가 등록에 대한 문의가 쏟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 27일 진행된 학생 면담에서는 200명이 이상의 학생들이 몰렸으며, 이 중 상당수 학생이 복귀 의사를 밝히며 전체 학생의 80% 이상이 최종 등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처럼 복귀 기류가 바뀌면서 27일까지 등록 마감 시한을 연장하는 대학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전남대는 지나 24일까지 복학 신청서를 받기로 했으나 28일 정오까지로 연장했다.
전남대 의대는 27일 이를 알리며 "추가 복학 신청이 승인되도록 학장단과 의대 교수들이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복귀하는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업에 임하도록 보호하겠다"고 복귀를 독려했다.
이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복귀 시한을 연장해 달라고 정부와 대학에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기도 하다.
의총협 "절반 이상 돌아오면 정상 수업 가능"
제적 압박 속에 예상보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돌아오고 있으나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를 제외하고 아직 뚜렷한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지난 27일 성명서를 내고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의대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협회는 회원 보호를 위해 기존 방향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연세대 의대의 '등록 후 휴학' 방침 결정에 대해 "협회는 지속 반대 의견을 냈다"면서 "자신의 안위를 위해 39개 단위를 저버렸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연세대 대의원(학생대표)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제적 협박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며 "투쟁의 목적이 어느 것도 달성되지 않았다. 적법한 휴학원을 우리 스스로 찢어야 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결정하며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대학은 지난해 휴학생 중 절반만 돌아와도 올해 수업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공동회장을 맡고 있는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최근 복귀 기준에 대해 "통상적으로 (복귀 인원이) 과반은 넘어야 정상적 교육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오늘(28일) 가톨릭대, 강원대, 경희대, 인하대, 전북대, 조선대, 중앙대, 충남대, 충북대 등 다수 대학의 복귀 시한이 도래하는 가운데, 다른 대학 의대생들 복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