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대학과 정부를 향해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제적 협박을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31일 시도·직역의사회 등이 연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성명 및 입장을 발표하며, 의대생 보호에 나섰다.
교육부가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제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면서 의대생들 혼란도 더 가중되고 있다.
강원도의사회는 "교육부와 의대 학장 총장들이 담합해 학생들이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시키고 미등록 시 제적한다는 말도 안 되는 협박을 통해 학생 복귀를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앞에서는 학생들 미래를 걱정하고 보호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면서 뒤에서는 제적 압박을 부모들에게도 자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의사회는 "정부와 대학이 무조건 강압과 압박으로 일관하며 학생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세운다면 결국 장기적으로 의료 붕괴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한정형외과의사회 역시 지난 30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당근과 채찍 전략으로 학생들을 압박하고 있지만, 이는 문제의 본질을 해결하는 방식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래 동료를 생각하면 복귀해야 할 것 같지만 정부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불만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냥 돌아가기엔 믿음이 가지 않는다"고 밝혔다.
의사회는 "돌아오지 않으면 의대증원을 유지하겠다는 등 정부 협박은 사태 해결에 일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학생들 반발을 더 심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대학과 정부를 향해 제적예정통보서를 철회하고, 학업 자유를 보장할 것을 제안했다. 학생들에게 부당한 일이 발생하면 앞서 의협이 선포했던 것처럼 투쟁도 불사할 방침이다.
강원도의사회는 "대학은 학생들이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계를 수리하고, 제적예정통보서를 철회하라"면서 "교육부와 학교는 의대 학사 운영 정상화를 철저히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의사회는 "학생들에게 조금이라도 부당한 일이 발생한다면 끝까지 함께 투쟁할 것을 선언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정형외과의사회는 "학생 복귀와 관련된 의료계 내부 갈등이 의대생 혼란을 가중시킨다"며 "자기 주장만 하기 보단 열린 마음으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고"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