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중입자 치료기 도입…2031년 가동
이달 7일 도시바 컨소시엄과 계약, 국내 최대 '중입자 치료시설' 건립
2025.04.07 10:07 댓글쓰기

국내에서 가장 많은 암 환자를 치료하고 있는 서울아산병원이 최첨단 암 치료 장비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하고 난치성 암환자를 위한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나선다.


서울아산병원은 "중입자 치료기 도입을 위해 일본 도시바ESS-DK메디칼솔루션 컨소시엄과 계약을 체결하고, 2031년 가동을 목표로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한다"고 7일 밝혔다.


서울아산병원은 서울 송파구 풍납동 캠퍼스에 연면적 4만880㎡(약 1만2388평)로 국내 최대 규모 중입자 치료 시설을 건립한다. 회전형 치료기 2대, 고정형 치료기 1대를 도입하고 최첨단 치료 환경을 구축해 암환자들 치료 편의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중입자 도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러 기관과 지자체로부터 유치 희망과 제안을 받았으나, 환자 편의 및 임상 치료와 연계된 의학연구 등 지역사회 발전을 고려해 풍납동 캠퍼스 설치를 최종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이온과 같은 무거운 입자를 활용해 암세포를 보다 정밀하고 강력하게 제거하는 최첨단 치료 장비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중입자 빔을 암세포에 조사하는 방식으로, 정상 조직은 최대한 보호하고 암 조직만 집중적으로 사멸시킨다.


서울아산병원 중입자 치료기는 전립선암, 췌장암, 간암뿐 아니라 폐암, 육종암, 신장암, 재발암 등 기존 치료에 내성을 가진 암종에도 적용이 가능해 난치성 암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탄소 이온뿐 아니라 헬륨, 네온, 산소 등 다양한 입자를 활용해 정상조직 손상은 최소화하고 내성이 강한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소아 종양에도 적용 가능한 멀티이온빔 미래형 장비를 갖출 계획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최고 사양의 중입자 치료 장비를 갖추게 되는 것은 물론 기존 대비 중입자 빔 조사 범위가 넓고 선량률이 높은 치료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짧은시간 동안 넓은 범위 치료가 가능해져 치료 시간이 단축돼 환자들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CT 장비를 이용한 영상유도 시스템을 적용해 치료 중 변화하는 종양 크기나 위치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등 차별화된 정밀 맞춤형 치료 시스템도 구축될 예정이다.


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은 “2031년 중입자 치료기가 도입되면 국내 최대 규모 첨단 암 치료 시설을 갖추게 된다”며 “난치성 암환자들의 치료 기회를 확대하고 국내 암 치료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3
답변 글쓰기
0 / 2000
  • 결사반대 04.11 09:40
    거대 재벌병원이 돈 벌려고 지역 주민의 안전까지 위협하면서 중입자 가속기를 서울시에 설치하는 것을 결사 반대한다!!!

    방사선 누출이나 폭발의 워험이 있는 장비를 도심에 설치하는게 말이나 되냐!

    돈벌려고 욕심 부리는 것도 장도껏 해야지!!!

    돈에 환장한 것들.
  • 기사 04.10 21:32
    '꿈의 암 치료기'라고 불리며 부산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일반산업단지에 추진되고 있는 중입자가속기의 유해성 논란이 일고있다.

     

    더불어민주당 문미옥 의원은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중입자가속기 사용허가를 위해 필요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방사선안전보고서 제출 등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문미옥 의원 "개발 방식 변경

    외벽 두께 축소, 방사능 위험"



    문 의원에 따르면 원자력의학원이 가속기 기종을 사이클로트론에서 싱크로트론으로 변경하면서 외벽 두께를 7.8m에서 2.5m로 축소했는데, 이 경우 방사능이 외벽 넘어 유출될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일본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 등 해외 전문가들의 '안전하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졌고 의학원은 현재까지도 관련 서류를 준비하지 않아 KINS의 심사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게 문 의원의 설명이다.



    또 문 의원은 수년째 적자에 시달리던 원자력의학원이 중입자가속기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포기하고 구입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지난 6월 완공된 치료센터는 중입자 가속기 없어 1000억 원의 세금이 낭비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 등은 "사이클로트론보다 방사선량이 적은 싱크로트론은 외벽두께를 일반인 연간피폭선량 기준치 이하로 맞춘 2.5~3m(측면 벽 2.5~3m, 바닥 3m)로 시공해 방사선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 ㅎㄷㅈㅇ 04.08 17:12
    그럼 ㅎㄷㅈㅇ 근처 민가 밀집이 되어 닜는데 방사선 피폭 폭발 가능성 등에 대한 안전대책은 마렴되어 있는가? 재벌병원 돈 벌려고 민간인에게 피해주면 되겠냐 안되겠냐? 나쁜 x xx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