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예과생들의 수업 참여가 저조한 가운데, 아주대 의대 신입생들이 수업 거부를 선언해 저학년 중심의 '등록 후 투쟁'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아주대 의대 25학번 학생들은 성명문을 내고 "신입생 중 109명은 수강 신청을 포기하고 일체의 수업을 거부하는 등 의료계의 대정부 투쟁에 참여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현 시점이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의료계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판단해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번 투쟁이 윤석열 정부 의료개혁 정책에 내재한 본질적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했던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대한민국 의료체계의 근본적인 문제를 외면한 채 정치적 목적과 허위 논리로 점철된 독단적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또 "의료계와 충분한 소통 및 논의 없이 진행된 의대 정원 확대는 의대생과 전공의 교육 환경을 악화시키는 등 오히려 기존 선진화된 의료시스템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아울러 "아주대 의대 25학번 학생 일동은 윤 전 정부가 강행했던 의료개악이 초래할 대한민국 의료 붕괴 위험성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1년간 투쟁을 이어온 선배들의 모습은 2025학번 학생 일동에게 큰 의미로 다가왔다"며 "절대다수 신입생들은 현 사태의 심각성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의료개혁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