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의료 정상화를 위한 논의 장(場)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한 의료계가 내부 전열을 정비하고 현안 대응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대한의사협회는 "보건의료인력 수급 추계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조직인 '의협 보건의료인력 양성지원기구(가칭)' 설립 추진 위원회를 구성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에 따라 보건의료인력 수급을 과학적·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서다.
위원장은 김창수 정책이사, 간사는 김민수 정책이사가 맡았으며 위원으로는 문석균 의료정책연구원 부원장, 박형욱 단국대 의대 교수, 강대용 연세대 원주의대 의학통계학 교수가 참여한다.
의협은 "이 기구를 통해 보건의료인력 수급 추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추계 모형의 객관성과 정합성을 확보해 정부 인력정책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개정안은 이번 주 정부에 이송돼 다음주 국무회의에서 의결을 거칠 예정이다. 이후 하위법령을 마련하고, 위원 위촉 및 수급추계 센터 지정 등의 후속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난 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따라 60일 이내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는 정국 변화에 대응해 선거 공약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의협 대선공약준비TF'도 구성했다.
대선공약준비TF 위원장은 김창수 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 간사는 안상준 대한의사협회 기획이사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대선기획본부 및 지원단도 구성된다. 민복기 대구광역시의사회 회장과 정경호 전라북도특별자치도의사회 회장이 대선기획본부장을 맡으며 오는 13일 출범식을 갖는다.
의협은 "합리적인 보건의료정책이 각 당 대선후보 공약에 반영되도록 보건의료분야 공약콘텐츠를 생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책 중심 단체로서의 위상 강화 및 의료계 정치역량 제고 등 보건의료 정책 제안의 실현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의료계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 해체와 함께 의료 정상화를 위한 대화 테이블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대통령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의개특위가 지속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의개특위를 멈추고, 의료계와 대화를 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어 "얼마 남지 않은 현 정부와 그간의 일들을 정리하고, 차기 정부와 논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아젠다는 테이블이 만들어지면 그 자리에서 협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